이번 글에서는 고려시대부터 현대까지, 한국 화폐의 시대별 특징과 변화 과정을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.
⚔️ 1. 고려 시대 – 최초의 주화, 건원중보의 등장
한국에서 처음으로 화폐가 주조된 시기는 고려 성종(996년) 때였습니다. 이때 발행된 화폐는 바로 건원중보(乾元重寶)라는 동전입니다.
건원중보의 특징
- 중국 송나라 화폐를 모방한 동전 형태
- 실제 유통보다는 상징적·정치적 목적이 강했음
- 거래보다는 보관용이나 왕실 중심 사용
이후 고려 시대에는 **해동통보, 삼한통보, 동국통보** 등 다양한 동전이 발행되었지만, 물품 교환 중심의 경제 구조로 인해 실질적 유통은 제한적이었습니다.
📜 2. 조선 시대 – 상평통보와 지폐의 등장
조선은 화폐 체계의 기틀을 잡은 시기였습니다. 초기에는 중국과의 교역 중심으로 은·쌀 등을 사용하다가, 조선 후기 숙종(1678년)에 이르러 **전국적 화폐 유통 체계**가 시작됩니다.
상평통보(常平通寶)
- 가장 널리 유통된 조선의 대표 주화
- 숙종 때 전국에서 사용되며 통화 기능 정착
- 무게 기준이 아닌 ‘명목가치’ 기준 적용
또한 지폐의 시초로 평가되는 ‘저화(楮貨)’도 조선 초 태종 시기에 등장했습니다. 이는 목화지로 만든 종이화폐로, 세계 최초 지폐로 알려진 중국 송나라 ‘교자’ 이후 가장 빠른 시도 중 하나였습니다.
하지만 저화는 위조가 쉬웠고, 신뢰 부족으로 인해 곧 폐지되었습니다.
🏛️ 3. 대한제국 전환국 – 근대 화폐 제도의 출발
1892년 고종 황제는 ‘전환국(轉換局)’을 설립하고, 본격적으로 근대식 주화와 지폐를 발행하기 시작했습니다.
대한제국 화폐의 특징
- 은화(一圓銀貨), 동전(銅錢), 지폐 등 다양한 형태
- 일본, 영국의 조폐 기술을 도입
- 세계적 화폐 제도에 발맞춘 통화 체계 구축
이 시기의 은화는 **국제 교역용 화폐**로도 사용되었으며, ‘大韓’이라는 문구가 찍혀 있는 최초의 주권 화폐였습니다.
하지만 1910년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며, 조선은행권으로 통일되고 한국 고유 화폐는 일시적으로 사라지게 됩니다.
🇰🇷 4. 광복 이후 – 원(₩)의 탄생과 한국은행 설립
해방 직후 한국은 혼란 속에서 화폐 체계를 새롭게 세워야 했습니다. 1945년 광복 직후엔 조선은행권이 사용되다가, 1950년 한국은행 창설과 함께 ‘대한민국 원(₩)’ 체제가 시작되었습니다.
한국은행권의 특징
- 한국은행이 유일한 발행기관
- 초기에는 외국 은행에서 위탁 제작
- 점차 국내 조폐공사 인쇄 체계로 전환
1950년대 이후 한국 경제는 전쟁, 복구, 산업화 등을 거치며 지폐와 주화의 단위, 인물, 디자인 등도 끊임없이 바뀌게 됩니다.
💴 5. 지폐 인물의 변화 – 시대를 반영하는 얼굴
지폐에 그려진 인물은 단순한 초상이 아니라 국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시대상을 반영하는 상징입니다.
현재 유통 중인 대한민국 지폐
1,000원 | 퇴계 이황 | 성리학자, 조선 유학의 대표 인물 |
5,000원 | 율곡 이이 | 조선 실학의 기틀을 다진 학자 |
10,000원 | 세종대왕 | 훈민정음 창제, 과학·문화의 상징 |
50,000원 | 신사임당 | 여성 최초 도안 인물, 예술·교육 상징 |
각 인물은 **대한민국의 철학, 교육, 과학, 예술을 대표**하며, 지폐를 통해 국가의 정체성과 가치를 전달하는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.
🧠 6. 전자화폐와 미래 – 현금을 넘어서다
2000년대 이후 한국은 빠르게 현금 없는 사회로 전환되고 있습니다. 신용카드, 체크카드, 간편결제(카카오페이, 삼성페이 등), 모바일 송금이 일상화되면서 실물 화폐의 사용 비율이 급감했습니다.
한국의 디지털 통화 흐름
- 2010년대: 모바일 결제 확산
- 2020년대: **한국은행, CBDC(중앙은행 디지털화폐) 연구 착수**
- 향후: 디지털 원화 발행 가능성 검토 중
앞으로는 실물 지폐 없이도 **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통화**를 사용하는 시대가 도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하지만 어떤 형태이든 **화폐는 국가의 신뢰를 기반**으로 한다는 점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.
📌 시대별 화폐 정리 요약
고려 | 건원중보, 해동통보 | 최초 주화 등장, 실용성 낮음 |
조선 | 상평통보, 저화 | 전국 유통화폐 정착, 지폐 시도 |
대한제국 | 전환국 은화, 동전 | 근대 통화 체계, 국제화폐 시스템 도입 |
광복 이후 | 한국은행권 (₩) | 지폐 중심 경제, 고속 성장기 |
현대 | 지폐 + 디지털 결제 | 전자화폐·모바일 결제 중심 |
✅ 마무리 – 돈은 시대를 담는 거울
한국의 화폐는 단순한 거래 수단을 넘어, **그 시대의 정치, 문화, 철학, 기술을 담은 상징**이었습니다. 고려의 건원중보부터 조선의 상평통보, 전환국 은화, 현재의 신권과 전자화폐까지, 돈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우리의 삶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.
화폐의 흐름을 알면 경제뿐 아니라 **한 국가의 정체성과 역사**도 함께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앞으로 디지털 시대의 화폐가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지, 함께 지켜봐야 할 중요한 시대입니다.
※ 본 콘텐츠는 2025년 7월 기준, 한국은행 · 조폐공사 · 화폐박물관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